[Linux] 리다이렉션과 파이브라인 (다중명령) #5 리다이렉션과 파이프 리다이렉션과 파이브를 배우기전에 파일 디스크립터 ( File Descriptor , fd )에 대해 알아두어야 합니다. ※ 파일 디스크립터 ( File Descriptor , fd ) ※ - 명령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명령어 파일을 실행하여 커널에게 처리해야 할 작업을 요청 합니다. 즉 프로세스 ( Process )를 생성합니다. - 리눅스에서 프로세스가 만들어지면 해당 프로세스는 파일 디스크립터를 생성합니다. - 파일디스크립터는 "파일 기술자"라고도 부르며 , 데이터의 출입구 역할을 합니다. ( 커널이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방법 ) - 프로세스의 출력을 다른 프로세스에 입력하거나 , 파일 또는 터미널등으로 출력하는데 사용합니다. 표준 입력 0 stdin 표준 출력 1 stdout .. 2021. 10. 1. [Linux] user permission #사용자 계정 (생성/삭제/변경/권한 부여) 리눅스에서 root 계정으로 작업을 한다는건 정말 위험한 행동입니다. 그러므로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서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자 계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사용자 계정 설정 관련 디렉토리 + /etc/passwd 계정 프롬프트 정보 /etc/shadow 암호화된 PASSWD 정보 [c:!!:17792:2:30:7:::] [계정:비밀번호:마지막으로 암호 바꾼날:암호를 바꿀 수 있는 최소일:바꿔야 하는 최대일:만료예고일] /etc/group 그룹계정 정보 /etc/skel 계정생성시 홈디렉토리에 생성되는 원본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 /etc/default/useradd 계정생성 기본 설정값 /etc/login.defs 기타 사용자 생성 옵션들이 정의된 파일.. 2021. 10. 1. 3. 비기너라면 알아두어야 할 VPC AWS를 사용하시려는 모든 유저분들이 간단히 보기에 좋은 내용입니다. AWS Docs는 너무 어려워...! 그렇다면 들어오세요. 배경 AWS를 시작하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VPC 서비스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VPC 개념 (Virtual Private Cloud) AWS 내 네트워크 입니다.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 내 다양한 서비스 가령 EC2등의 서버를 올리는 등, AWS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VPC 구성요소 Virtual Private Cloud(VPC) 사용자의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입니다. 논리적으로 분리되어있습니다. AWS 계정을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Default VPC를 제공받게 되는데, 이를 활용하셔도되고 직접 VPC를 생성하셔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 2021. 9. 30.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